
앱을 개발하는데 있어서, 효율적인 알고리즘 및 로직을 작성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불필요한 리소스가 낭비되는 것을 방지되는 것 역시 매우 중요합니다! Memory Leak, 즉 메모리 누수의 경우 불필요하게 메모리 영역을 잡아먹음과 동시에 메모리에서 해제되지 않은 인스턴스가 지속적으로 특정 로직을 실행하게 되면 리소스를 잡아먹기 때문에 앱의 성능에도 영향을 끼칠 수 있습니다. 아무튼 쉽게 생각하고 간과해서는 안 되는 문제라는 건데요. 이러한 메모리 누수를 확인하고 해결하는 방법 세 가지를 소개해 드리려고 합니다. 1. retain cycle이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 깊게 코드를 작성하자! Swift의 경우 ARC에 의해 힙 영역에 할당된 인스턴스 중 reference count가 0인 인스턴스의 경우 메모리에..

오늘은 ARC 즉, Automatic Reference Counting에 대해 정리해보려 합니다. ARC란? - Swift는 ARC를 활용해 앱의 메모리 사용을 추적하고 관리합니다. 인스턴스가 더 이상 필요하지 않으면 메모리에서 해제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메모리 관리에서 비교적 자유로워질 수 있죠 ㅎㅎ 하지만, 강한 참조로 순환이 이루어질 때는 메모리 누수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우리가 적절한 조치를 해줘야 합니다. 지금은 무슨 말인지 잘 모르겠어도 뒷부분에 설명할 예정이니 걱정 안 하셔도 됩니다! 작동 방식 - ARC는 각 인스턴스가 얼마나 참조되고 있는지를 추적하고 저장함으로써 메모리 관리를 합니다. 만약 참조 counting이 1 이상이면 인스턴스는 메모리에 계속 남아 있고 0이 되었을 때..

오늘은 열거형에 대해 알아보려 합니다!! 열거형 열거형(Enumerations) - 연관된 값을 그룹지어 정의 한 것으로, 코드 안에서 type-safe한 방식으로 그 값들을 사용할 수 있게 해줌. 예) 동서남북 등.. - 특징 enum자체가 하나의 데이터 타입 각 case는 그 자체가 고유한 값 case의 경우 한 줄에 여러개 정의 가능 enum CompassPoint { case north case south case east case west } 이런식으로 한 줄 한 줄 case 작성해도 되고 enum Planet { case mercury, venus, earth, mars, jupiter, saturn, nranus, neptune } 이렇게 한 줄 작성도 가능 합니다 ㅋ ● 열거형 사용 위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