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의존성 주입(DI)에 대해 공부한 내용을 정리해보려 합니다. https://ko.wikipedia.org/wiki/의존성_주입 의존성 주입이란?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에서 의존성이 있다는 것은 클래스 간에 의존 관계가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다음과 같이 A라는 클래스에서 B클래스 객체를 생성해 사용하면 의존관계가 형성되는것이죠. class B: A { } class A { let b = B() // 의존 관계 형성 } 의존관계가 형성되면 한 클래스가 바뀔 때 다른 클래스가 영향받게 되는데. 이러한 의존관계를 약하게 만들기 위한 방법이 의존성 주입입니다. 객체의 생성과 사용의 관심을 분리함으로써 가독성과 코드 재사용성을 높이는데 그 의의가 있습니다. 만약 메일을 사용하는 User라는 클래스가 있..

이 문제 포스팅할 생각이 없었는데, 생각보다 테스트케이스 5번과 10번에 대해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이 많은것 같아서 포스팅해보려구 합니다 ㅎㅎ (저도 5번, 10번 통과가 안되어서 뭐가 문제인지 헤멨어요 ㅜㅜ) 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7679 코딩테스트 연습 - [1차] 프렌즈4블록 프렌즈4블록 블라인드 공채를 통과한 신입 사원 라이언은 신규 게임 개발 업무를 맡게 되었다. 이번에 출시할 게임 제목은 "프렌즈4블록". 같은 모양의 카카오프렌즈 블록이 2×2 형태로 4개가 붙 programmers.co.kr 문제는 위와 같은 격자 배열에서, 블록이 2×2 형태로 4개가 붙어있을 경우 사라지면서 점수를 얻는 게임입니다. 해당 블록이 사라지면 위에 있..

SwiftUI 기초 - 공식 튜토리얼 정리(1)에서 이어지는 내용입니다. SwiftUI 두 번째 튜토리얼입니다. 첫 번째 튜토리얼에서는 사용자에게 보여줄 정보를 하드 코딩했다면 이번 튜토리얼에서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모델을 만들어서 사용해 볼 겁니다. 먼저 developer.apple.com/tutorials/swiftui/building-lists-and-navigation 이곳에 들어가서 프로젝트 파일을 다운로드해주세요. 만약 영문으로 튜토리얼을 진행하고 싶으시다면 해당 링크에서 쭉 진행해 주셔도 무방합니다. 다운로드한 프로젝트 Resources 폴더의 landmarkData.json 파일을 우리가 튜토리얼 1에서 만들었던 프로젝트에 드래그 앤 드랍합니다. 그다음 Landmark라는 이름의 Swif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