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ccQ5xb/btqB6jjrOmW/ihsydjlmC6snaikvspfbE1/img.png)
앞서, 깃헙에 대해 살펴 보았으니, 이제 본격적으로 사용 방법에 대해 알아봐야 겠죠? 우선 깃헙에 회원가입을 하셨으면, 로그인을 해줍시다. 로그인 하면 다음 사진과 같이 화면 상단에 초록색버튼 New가 있을겁니다. 이 버튼은 깃허브에 원격저장소를 만들겠다는 버튼입니다. 클릭해 줍시다! 여기서 깃허브를 처음 사용하시는 분들은, 어렵게 느끼실 수도 있는데요. 전혀 두려워 할 것 없습니다! 각각의 용어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습니다. Repository name - 원격저장소 이름 Description - 원격저장소에대한 간략한 설명 (선택 사항이므로 안적으셔도 됩니다.) Public & Private - 원격저장소를 공개로 설정할 것인지, 비공개로 설정할 것인지 선택 Initialize this reposi..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Wt2rO/btqB8PgELaQ/k6t7Qkp8WbtzFaZfKexZsK/img.png)
드디어! 깃헙에대해 정리할 날이 오는군요. Github는 대표적인 원격저장소로써, 한마디로 지역저장소(컴퓨터)와 대비되는 개념입니다. 주로 이 두가지 목적때문에 깃헙을 사용 하게되죠 소스코드 백업 협업 깃헙을 사용하려면 당연히 회원가입을 해야겠죠? https://github.com/ 사이트에 가셔서 Sign up 버튼을 눌러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 해주시면 됩니다. Github을 이용하려면 Github 사이트를 둘러보며 어떻게 사용하는지, 그리고 각각의 명칭들이 뭘 의미하는지 숙지하고 있으면 좋겠죠? 오픈소스 프로젝트나 다른사람들의 프로젝트를 검색해 보고 싶다면, 네이버, 구글등의 포털에서 검색하는 것처럼 검색창을 이용해 검색하면 됩니다. 참고로 Git도 오픈소스인데, 이렇게 Git이라 검색해서 Git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