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통 코딩 테스트를 볼 때, 조금 난이도가 있는 문제는 알고리즘의 정확성 테스트뿐만이 아니라 효율성 테스트를 함께 검토하게 됩니다. 즉 알고리즘을 잘 구현해서 정답을 잘 맞춰도 효율이 좋지 못하면.. 효율성 테스트를 통과하지 못하게 되는데요. 이럴 경우, 정확성 부분에만 부분점수를 받을수도, 아예 점수를 받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이 효율성테스트라는 것이 시간 복잡도를 의미합니다. 결국 이 알고리즘이 얼마나 문제를 빨리 풀어낼 수 있는지 체크하는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저 같은경우, 딱 문제를 보고 직관적으로 생각나는 방법으로 풀면 무조건 시간 복잡도가 O(n^2)이 나오더라구여 ㅜㅜㅜ 보통 효율성 테스트를 통과하기 위해서는 시간복잡도가 O(nlogn)이 되어야 하는 것 같습니다. 알고리즘을 처음 공부..
알고리즘/정리
2020. 5. 28. 18:49
링크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