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bTqNW4/btqBHy0S35s/MgwdlDXHrfwccOgd8liFjK/img.png)
신경과학에 대한 간단한 설명(시스템 레벨의 뇌 연구) 시냅스나 피질자체의 구체적인 작동원리 보다는 뇌가 사용하는 알고리즘, 개념의 묘사, 종합적 구성의 계층적 시스템보다 상위 수준에서 일어나는 뇌의 계산 원리에 더 관심이 많다 이유: 뇌를 새로운 알고리즘을 디자인 할 수 있는 씨앗으로 보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하기 때문. 그 알고리즘이 실리콘 재질인 컴퓨터에서 구현되는 방법이 두뇌에서 응용되는 방법과는 다를것이다. 그렇기에, 뇌의 세부적인 동작 하나하나를 그대로 모방하는 접근 방법은 좋지 않다고 생각 한다. 딥마인드 팀이 신경과학에서 연구하는 분야는 기억,주의,추상적 지식과 같은 개념, 계획, 네비게이션 그리고 상상력에 관한 것들.. 뇌에서 해마(Hippocampus)는 여기에 언급한 많은 기능들과 매우..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8bXXz/btqBHUJo0Qz/KTZksgOxuyHSXpjkPOYYMk/img.gif)
많은분들이 그렇겠지만, 저는 알파고와 이세돌 9단의 대국으로 인해 딥러닝에대해 알게 되었고, 또 관심을 갖게 되었는데요. 맨날 제대로 한 번 공부해 보고싶다는 생각만 갖고 있다가, 지금만큼 공부하기 좋은 시기가 없을 것 같아서 강의와 책을 기반으로 공부 할 생각입니다. 머신러닝,딥러닝의 대가 및 전문가들은 어떤 관점을 취하고 어떤 생각을 갖고 있을까 너무 궁금한 상태였는데, 때마침, 알파고와 이세돌9단의 대국을 참관하기 위해 방한한 데미스 하사비스가 카이스트에서 '인공지능과 미래'라는 주제로 강연을 한 영상을 유튜브에서 찾을 수 있어서, 영상을 시청하며 글로 정리해 보았습니다. 저는 생물학 특히 뇌공학쪽에는 지식이 전무하다 싶이 하기 때문에 섣불리 말하기는 어렵지만, 개인적으로 뇌 역시 전기적 신호로 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