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늘은 파이썬 집합의 함수 및 메소드에 대해 정리해보려 합니다! 집합은 중복을 허용하지 않기 때문에, 알고리즘 문제에서 리스트의 원소의 중복을 제거해야할 일이 있을때, 집합으로 타입을 변환해서 중복되는 원소를 제거한 후 다시 리스트로 타입변환을 해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집합(Set)은 원소의 중복은 허용하지 않으면서 순서가 없는 자료형입니다. # 집합 test_set = set() # 공집합 선언시 test_set = {} 하면, 공집합이 아닌 딕셔너리를 생성하게 됩니다. test_set = {1,2,2,2,3,4,5} print(test_set) #결과: {1, 2, 3, 4, 5} -> 중복 허용 X 합집합 & 교집합 & 차집합 s1 = {1,2,3,4,5} s2 = {4,5,6,7,8}..

안녕하세요! 오늘은 문자열과 관련된 함수를 정리해 보려 합니다. 파이썬에서 문자열은 리스트와 마찬가지로 인덱싱 및 슬라이싱이 가능합니다. (파이썬은 다른 언어에 비해 문자열 처리가 상당히 편리한거 같아요.) # 인덱싱 & 슬라이싱 a = "Hello World!!" print(a[0], a[-1], a[7:11]) # 결과: H ! orld ● join() -문자열 삽입 # 문자열 삽입(join) join_str = ",".join('abcdef') print(join_str) # 결과: a,b,c,d,e,f ● strip() - 공백 지우기 # 왼쪽 공백 지우기(lstrip) test = " Hello World!! " print(test.lstrip()) # Hello World!! # 오른쪽 공백 ..

오랜만에 글 작성 하는것 같네요 ㅎㅎ.. 사실 머신러닝도 그렇고, iOS도 그렇고 욕심은 많아서 포스팅 하고 싶은 글들이 많은데.. 어쩌다보니 계속 미루게 되었네요. 다시 열심히 작성해 봐야겠습니다! 알고리즘 카테고리의 첫 포스팅인데, 앞으로 이 알고리즘 카테고리에 제가 푼 알고리즘 문제들을 올릴 것 같습니다. (알고리즘 실력이 너무 형편없어서 그냥 기록용으로 올릴 것 같습니다 ㅎㅎ..) 오늘은 알고리즘이 무엇인지와 순서도, 그리고 알고리즘 공부하기 좋은 사이트를 소개해드리려 합니다. 알고리즘 - 특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논리적으로 기술해 놓은 일련의 명령문 프로그램 - 알고리즘을 컴퓨터가 이해하고 실행할 수 있는 특정 프로그래밍 언어로 표현한 것 순서도 - 미리 정의된 기호와 그것들을 서로 연결하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