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lsh424

프로필사진
  • 글쓰기
  • 관리
  • 태그
  • 방명록
  • RSS

lsh424

검색하기 폼
  • 분류 전체보기 (98)
    • Swift&iOS (32)
      • Swift (5)
      • iOS (26)
    • python (6)
    • 머신러닝 (16)
    • Git 정리 (12)
    • 자료구조 (6)
    • 알고리즘 (17)
      • 정리 (4)
      • 문제풀이 (6)
    • 네트워크 (1)
    • 컴퓨터 그래픽스 (0)
    • about ME (0)
    • 책 (4)
    • 공부 (4)
  • 방명록

Android (1)
모바일 개발에서의 Clean Architecture

클린 아키텍처? Robert C Martin이 제시한 소프트웨어 아키텍처로 계층별 역할(관심사)을 분리함으로써 유지보수, 테스트 용이성의 이점을 가져갈 수 있다. 위 이미지를 보면 의존성의 경우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향하게 되는데, 이 의미는 안쪽 계층의 경우 바깥 계층에 대해 알 수 없다는 의미(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의미)이고 안쪽으로 갈 수록 의존성이 옅어짐으로 변경 가능성이 가장 적은 비즈니스 룰이 위치하게 된다. 여기서 비즈니스 룰이란 Domain Layer(Use Cases + Entities)에 적용되는 규칙으로 사업의 핵심적인 서비스와 관련된, 즉 잘 변하지 않는 비즈니스 로직을 적용하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일기 앱 서비스라고 가정한다면 일기 작성, 삭제등의 기능이 있을 수 있다. 이 로..

공부 2023. 5. 14. 21:49
이전 1 다음
이전 다음
링크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Blog is powered by Tistory / Designed by Tistory

티스토리툴바